• 최종편집 2024-04-23(화)
 
1.jpg
 갑자기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의 위대한 흑인 지도자 ‘용서와 화해’의 정치인 넬슨 만델라가 생각난다. 그는 1918년 7월 18일 태어나 2013년 12월 5일 95세의 나이로 서거했지만 그의 용서와 화해의 정신은 세계 모든 사람들이 기리고 있는 아름다운 정신이다.
만델라는 남아공의 흑인차별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t)에 대한 반대 운동을 전개하다가 투옥되어 27년을 감옥에서 지냈다. 전 세계는 아파르트헤이트의 종식과 만델라 석방을 외쳤다. 그리하여 1993년 만델라는 석방됐고, 1994년 남아공 최초의 자유롭고 민주적인 절차에 의한 평등선거실시로, 최초의 흑인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토록 오랜기간 정치적 박해로 감옥에서 지낸 만델라 대통령은 백인에 대한 정치적 보복을 하지 않고, ‘진실과 화해위원회’를 설치하여 7,112건의 사면 요청과 849건의 사면을 단행하여, 과거사를 청산하고 흑백갈등이 없는 국가를 세우기 위해 노력했다. 만델라는 처벌과 보복대신에 용서와 화해를 선택했다. 참된 자유를 구가하는 정치인에게만 가능한 용서와 화해의 정치가 그에게서 이루어진 것이다.
남아공의 백인 소수의 통치하에서 수 세기 동안 억압과 고통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복수가 없는 나라를 주창했던 만델라 대통령은 분노와 한을 품은 사람들에게 국민통합과 국가미래 역사에 정치적 실천을 보여주었다. 만델라는 정작 자신은 거칠게 살았지만 그의 정치는 유연한 겸손과 온유였다.
‘용서가 없는 미래는 없다’(1999, 데스몬드 투투). 오늘의 대한민국과 한국교회를 생각하면서 가슴깊이 밀려오는 만델라의 용서와 화해는 어느 날의 우연한 독백인지도 모르겠다.
오늘의 문제인 정부는 남북을 넘어 세계를 향하여 ‘평화’를 외치고 있으나, 막상 국내에는 전직 대통령들을 둘씩이나 감방에 가두어놓고 과연 어떤 평화를 구상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만델라 대통령처럼 모든 것을 다 떨쳐버리고 먼저 용서와 화해의 길을 찾는 것이 평화가 아닐까. 어쩌면 우리는 ’적폐청산‘이란 과거에 얽매여 미래와 내일에 대하여 불확실한 걸음을 걷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
인간에게는 누구나 지난날의 원한과 분노가 있을 수 있고, 더구나 권력이나 정치인에게는 수없는 복수심이 자리 잡고 있겠지만, 만델라 대통령처럼 용서와 화해로서 과거를 청산하고 새 출발하는 것이 더 아름답고 박수를 받을 만한 일이 아닐까.
한국교회 또한 오늘의 시점에서 깊이 반성하고 주님의 ‘원수사랑’과 ‘죄인을 용서’ 하시는 성경적인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 교회가 사회의 지탄을 받고, 교회가 교회답지 못하여 분쟁과 분열로 혼란한 이때에 사탄은 흡족한 미소를 짓고 있을 것이다.
교회 강단에서는 ‘사랑’을 외치고, ‘관용과 용서’를 부르짖지만, 여차하면 고소와 고발을 일삼는 지도자들이 허다하다. 명예와 욕심으로 가득 찬 지도자들의 정치행각이 교단과 연합을 해치고 있으며, 교회와 성도들을 선동하여 분열과 갈등을 일으키는 지도자들이 얼마나 많은가. 서글픈 일이다.
대한민국이 만델라와 같은 용서와 화해가 있었다면 ‘건국대통령 기념관’도 건립하고 역대 대통령 기념박물관들도 세워서 정치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워 나갈 수도 있었겠지만, 지난날의 역사적 공로는 깡그리 무시하고 너도나도 물고 헐뜯는 상황으로 암담한 세월을 보내고 있다.
성경은 ‘온유한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땅을 기업으로 받을 것이요, 화평케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을 것임이요’ 라고 했다. 이것이 진정한 용서와 화해의 아이콘일 것이다.
태그

BEST 뉴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데스크칼럼/주필 김형원 장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