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기관 통합에 대한 교계 일부의 염세주의적 시선에 아쉬움 피력
“불가능! 그것은 아무것도 아니다”
소강석 목사(한교총 증경대표회장, 새에덴교회)가 교계 연합단체 통합을 마냥 염세적으로 바라보는 일부 교단과 지도자들을 향한 아쉬움을 전했다. 수만가지 이유를 들어 통합을 반대할 수 있지만, 실상 통합을 해야 하는 단 한 가지 이유를 설득치 못한다는 것이다.
소 목사는 지난 8월 28일 충남 보령 베이스리조트에서 열린 예장합동측 전국호남협의회(대표회장 민찬기 목사)의 하기수양회 첫날 강사로 나서 ‘엘리멘탈 캐슬을 이루자’는 주제로 특강을 펼쳤다. 영화 ‘엘리멘탈’에서 차용한 해당 주제는 절대 함께할 수 없는 ‘물’과 ‘불’도 결국 사랑으로 하나되는 영화 줄거리처럼 한국교회의 하나됨도 이해와 포용, 배려와 사랑이 있다면 결코 불가능하지 않다는 메시지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한국교회 회복의 열쇠가 연합운동의 하나됨에 있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고 나섰다. 연합운동의 회복 없이 한국교회의 미래를 없다는 실제적 메시지인데, 기대를 모았던 한기총-한교총의 통합이 사실상 좌절된 상황에 안타까움과 우려가 베어 나왔다.
소 목사는 "우리가 신학적 교리적으로 완전히 하나되기는 힘들다. 당장 우리 교단의 신학으로 모두를 품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면서 "허나 다름이 결코 분열의 이유가 되어서는 안된다. 연합운동이 무너져 한국교회가 받는 생태적 피해는 실로 상상키 힘들다"고 말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종교인 과세, 포괄적차별금지법, 수쿠크법 등을 들었다. 연합기관의 분열로 개교회의 목회적 생태계마저 송두리째 뒤흔들리는 위기를 자초했다는 지적을 펼쳤다.
소 목사는 "종교인과세가 문제가 됐을 당시, 교계는 이에 대한 제대로된 파악조차 하지 못했다. 해당 안건이 이미 국회 본회의까지 올라갔는데 한기총은 한교연과 분열되어 실상 손을 놓고 있었다"면서 "결국 부랴부랴 17개광역시도연합회를 만들어 종교인과세의 독소적 부분을 막아냈다. 만약 당시 교계 연합운동이 건재했다면 종교인과세가 쉽사리 나오지도 못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를 상대할 수 있는 것은 연합기관이다. 정부는 교단의 총회장이 아닌 연합기관의 대표와 대화하려 한다"며 "연합기관이 교회, 교단을 지킬 울타리가 되어줘야 한다. 하나됨은 사명이다. 연합의 위대한 사명 앞에 함께 전진해야 한다. 불가능 그것은 아무것도 아니다"고 강조했다.
한편, 소강석 목사는 교계 연합운동이 한기총-한교연-한교총으로 삼단 분열되어 대표 리더십을 상실한 위기 속에 지난 4년여 이를 다시 하나로 회복키 위해 통합운동을 대대적으로 펼쳐왔다. 한교총 대표회장, 통합추진위원장 등을 연임하며, 실제 한기총-한교총 통합을 8부 능선 언저리까지 성사시키는 등 교계는 물론 사회가 주목할만한 성과를 냈다.
특히 소 목사의 주도로 한기총-한교총-한교연은 통합을 위한 라운드테이블을 열어 서로의 통합 의지를 확인키도 했으며, 분열 이후 처음으로 포괄적차별금지법을 반대하는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여기에 한기총과 한교총은 실제적 통합을 위한 세부 합의서를 작성하는 등 최근까지 교계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