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분단은 현대 세계의 정치구조와 이념 체제가 낳은 죄의 열매이다. 세계의 정치구조와 이념 체제가 낳은 죄의 열매이다. 세계 최대 강대국들의 군사적 이념적 대결의 상호분쟁 속에서 우리 민족은 속죄양의 고난을 당하여 왔다. 민족의 분단이 가져 온 결과는 지금까지 장기화 되면서 남과 북은 안보와 이데올로기의 명분하에 인권은 유린되고 언론과 출판, 집회와 결사의 자유는 억압되어 왔다.
우리민족이 갈라서서 있는 동안 우리 그리스도인들도 평화와 통일을 위해 하나님 앞에서 서로 비방하여 싸우며 증오와 적개심을 품고 서로가 하나님 앞에서 죄인으로 서 있음을 깨닫게 한다. 이는 ‘네 이웃을 내 몸처럼 사랑하라’는 계명에 죄인으로 서 있음을 알게 한다. 믿음은 장래 결과를 미리 보는 것이다. 하나님은 서로의 마음에 약속들을 새겨 믿음을 낳으시고 다양한 일들을 일으켜 믿음을 도우신다. 여기까지 오게 하는 것은 기다림이다. 이 믿음은 보고 믿는 것이 아니라 믿고 기다리며 보는 것이다. 하나님은 약속을 돕고 성취하신 분이시다. 하나님의 약속과 성취 사이에는 ‘기다림’만이 우리의 몫이다. 기다림이 없이는 신앙이 자라지 않는다. 지금 우리는 감추어 두신 하나님의 기다려야 할 일들을 보아야 한다. 이는 “평화를 기다리는 믿음”이다. 우리는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순종, 인내, 기다림으로 구원을 받는 것이다. 여기서 기다림은 정지해 있는 시간도 낭비하는 시간도 아닌 하나님께 간구하는 믿음의 약속을 포기하지 않는 시간임을 알아야 한다. 약속의 말씀을 붙잡는 자는 어떤 핍박도 환난과 고난 앞에서도 심지어 죽음의 위협 앞에서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민족이라는 개념은 민족 자신에 의한 자각, 또는 집단에 의한 인식(민족의식)을 계기로 하여 생겨나는 것이다. 이 같은 민족이라는 개념이 현실에서 활성화되는 것은 외부와의 몇 가지 연관관계를 통하여 민족 자신이 자기의 존재(또는 특수성) 혹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민족의식을 각성하게 될 때 가능해진다. 민족의 경계설정에 사용되는 지표는 사회생활 전반에 걸치는 것도 있고 사회생활의 특정 분야에 한정되는 것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의복, 언어, 가옥형태, 일반적 생활양식 등의 명시적인 것도 있고 추상적으로는 가치관·윤리관·행위기준 등 문화내용적인 것도 있다. 중요한 것은 다른 민족 범주와의 사이에서 인원의 개별적인 이동·접촉·혼인·동화 등의 현상이 생겨 민족성의 지표가 되는 문화특징 자체가 변용된다는 것이다. 민족 범주라는 개념이 존재하는 한 구성원과 비구성원 사이의 이분화 작용이 계속되는 것이다. 평화는 상대 개념으로 쓰이는 전쟁의 목적, 원인, 방법 등의 변화와 더불어 평화의 개념도 달라진다.
평화를 뜻하는 말로 유대교의 샬롬(salom), 그리스의 에이레네(eirene), 로마의 팍스(pax), 중국의 화평. 인도의 샹티(santi), 각각 정의, 질서, 친화와 평온, 편안한 마음을 평화의 주요소로 말한다.
그리스도교의 서양 문명권에서는 평화가 정의의 실현.(평화를 위한 전쟁), 전쟁이 없는 상태로서의 질서유지(pax Romana)라는 정치적이고 적극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힌두교 영향권에 있던 인도에서는 마음의 평안함을 목표로 하는 내향적, 비정치적인 태도로 평화를 추구한다. 이는 경제가 공유되어 자신의 재능을 발휘할 수 있고 범죄가 없는 사회라는 그러한 정의로만 알고 이해하고 있기에 전체의 의미를 알아 평화의 개념을 사회 정의에서 찾는 점을 감안하여 이를 실행해야 할 이유를 찾아야 한다.
우리 민족이 과거 6·25전쟁을 생각해 본다. 이는 같은 민족끼리 3년 1개월간 계속되었으며 전쟁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민간인을 포함하여 약 450만 명에 달한다. 그 가운데 남한의 인명피해는 민간인 약 100만 명을 포함한 약 200만 명이며, 공산진영의 인명피해는 100만 명의 민간인을 포함하여 약 25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휴전협정 제60조에 의거 1954년 4월 제네바에서 대한민국과 UN 참전 16개국 그리고 북한과 중국 및 소련이 참석한 가운데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을 위한 정치회담이 개최되었다. 한국과 UN 참전국측은 UN 감시하에 남북한 토착인구비례에 의한 자유총선거 실시와 그 결과에 따른 민주적인 통일정부수립을 주장한 데 반하여, 공산군 측은 오로지 주한 UN군의 철수만을 주장함으로써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같은 해 6월 회담은 결렬되었으며, 남북한은 항구적인 평화가 아닌 휴전상태에서 오늘에 이르고 오늘에 와서야 그 평화가 열리고 있다.
ⓒ 교회연합신문 & ecumenicalpres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