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핵 정국 이후 기독교의 사회적 영향력 급증
헌법재판소가 지난 4월 4일,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최종 결정하며 국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단순히 윤 대통령 파면에 대한 찬반이 아니라, 해당 결정으로 인한 국민들의 대립을 크게 염려한 것이다.
교계 역시 이를 염두한 듯 보수와 진보를 떠나 헌재 판결의 수용과 국민 화합의 메시지를 적극 생산해 냈다. 특히 한교총은 대통령 계엄 이후 펼쳐진 4개월의 탄핵 정국 동안 국민들의 대립과 분열이 극에 달했고, 이로인한 상처가 너무 컸음을 지적하며, 사회와 교회 전체가 회복에 집중할 것을 요청했다.
한기총 역시 헌재 판결 이후에도 계속되는 대립 조장을 크게 우려했다. 마치 탄핵을 지지한 정당과 세력이 승자인 양 규정되는 분위기가 자칫 더 큰 혼란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지적하며 "개헌을 통해 승자독식 구조를 바꾸고, 권력을 분산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번 헌재 판결이 그간 대통령 탄핵을 반대했던 이들에게는 매우 충격적일 수 밖에 없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새롭게 잡힌 6/4 대선에 대한 현명한 접근이 매우 시급하다는 사실이다.
현 상태로는 헌재 판결의 후폭풍은 그리 크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이를 그대로 안심하기 매우 섣부른 것은 코 앞에 위치한 대선에 대한 조급함이 그 어느때보다 양 진영의 대립을 부추길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 한국교회가 어떤 자세를 취할 수 있을지가 매우 중요하다. 굳이 보수와 진보를 갈라 어느 한쪽의 편을 들지는 않더라도 최소한 성경과 기독교의 가르침에 부합한 대통령이 선출될 수 있도록 정의로운 목소리를 내야 할 것이다.
물론 교회의 직접적인 정치 참여는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으나, 그렇다고 국가의 운명이 달린 대선 앞에 침묵만 고수하는 것은 정의를 등진 방관자로 낙인될 우려도 크다.
그동안 대한민국의 국민들이 불행했던 것은 대부분의 선거에서 최선과 차선을 고민한 것이 아닌, 최악을 피하기 위해 차악을 택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번 대선은 그 어느때보다 이전투구 양상으로 흐를 가능성이 크다. 별다른 준비없이 급작스레 치러지는 선거인만큼 자기 후보가 준비된 인물이라는 자랑보다는 상대 후보가 옳지 못하다는 비난이 더 주를 이룰 것이다.
중요한 것은 흑색 선거 속에 교회가 잡을 수 있는 중심이 어디까지인가다. 지난 탄핵정국에서 기독교는 시국의 매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이는 이번 대선에서도 기독교의 역할이 클 수 밖에 없다는 것인데, 그런만큼 매우 전략적이고 합리적인 접근이 요구될 수 밖에 없다
특히 진보계가 대통령 탄핵 뒤 내놓은 국가 과제로 포괄적차별금지법 제정을 꼽았다는 점을 매우 유념있게 봐야할 듯 싶다. 특정 후보를 지지하거나 반대하지는 않더라도 적어도 기독교인들이 이번 대선에서 경계해야 할 부분은 명확하기 때문이다.
혹자는 탄핵정국에서 큰 역할을 담당한 기독교가 부흥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자부키도 하지만, 이보다는 교회 스스로는 새롭게 맡겨진 책무에 대한 부담을 더 깊이 새겨야 할 듯 싶다.